2026년 공무원 보수: 수당 종류·인상 효과 총정리(3.5% 인상)

이미지
2026년 공무원 각종 수당 정리 2026년 공무원 보수는 3.5% 인상 이 확정됐습니다. 본봉이 오르면 월봉급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수당 도 함께 올라 체감 상승폭이 분명해집니다. 수당의 구조·계산기준·인상 효과 를 핵심만 모아 정리했습니다. 법령(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과 인사 관련 안내를 기준으로, 봉급에 연동돼 자동 인상되는 항목 과 연초 고시로 확정되는 정액·단가형 항목 을 구분해 설명합니다. 9급 초임 예시는 2025년 공식 수치에 본봉 3.5% 인상만 반영 한 보수적 계산을 사용했습니다. 연동형 수당: 자동 인상 항목 연동형 수당 (명절휴가비·정근수당 등)은 본봉 3.5% 인상분이 즉시 반영됩니다. 반면 정액·단가형 수당 (정액급식비·직급보조비 등)은 매년 별도 고시 로 확정되므로, 연초 공고를 확인해야 실제 금액이 결정됩니다. 명절휴가비(설·추석) : 월봉급액의 60% × 연 2회. 본봉 인상률만큼 자동 증가. 예) 9급 1호봉(2026 가정 본봉 2,070,900원 ) → 1회 1,242,540원 . 정근수당(1·7월) : 근무연수별 비율(월봉급액의 10~50% )로 산정. 본봉 인상분이 그대로 반영. 시간외·야간·휴일근무수당 (실적분): 단가·예산 기준이 따로 있지만, 기준보수·등급 요소와 맞물려 총액 측면에서 인상 효과가 나타남. 정액·단가형 수당: 확정 고시 정액급식비 · 전년도 기준 월 140,000원 . 2026년에는 160,000원 인상 추진(언론 보도)으로 확정 고시를 확인해야 합니다. 직급보조비 · 직급별 정액 지급. 예시로 전년도 기준 9급·8급 175,000원 (등급별 차등). 2026년에는 6급 이하 +25,000원 인상 추진 보도가 있으므로 최종 고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연가보상비 · 미사용 연가를 보상하는 정액·단가형 성격. 공식 산식은 월봉급액 × 86% × (1/30) × 연가보상일수 . 보통 상·하반기 또는 연말 기준으로 기관 지침에 따라 지급됩...

2026년 공무원 봉급표: 수당·실수령액 총정리(3.5% 인상)

이미지
2026년 공무원 봉급표 2026년 공무원 보수가 3.5% 인상 으로 확정됐습니다. 2017년 이후 9년 만의 최대폭으로, 정부가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을 확정하며 반영됐다는 소식이 주요 매체를 통해 보도되었습니다. 이번 인상률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2.9%)과 물가상승 전망치(2.0%)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아래 본문에서는 인상분이 반영된 봉급표 핵심 수치 와 수당 구조 , 그리고 9급 초임 실수령액 예시 를 간결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관련 글 보기 • 2025년 공무원 명절휴가비↗ • 2026년 경찰 소방관 봉급표↗ 2026 공무원 봉급표 (1~4급·6등급) 호봉 1급 2급 3급 4급·6등급 1 4,656,100 4,191,600 3,781,700 3,241,200 2 4,819,300 4,347,100 3,921,600 3,373,500 3 4,986,600 4,504,700 4,065,700 3,508,000 4 5,157,700 4,663,700 4,210,800 3,645,700 5 5,353,300 4,825,100 4,357,300 3,786,100 6 5,510,400 4,986,500 4,507,200 3,926,200 7 5,690,400 5,150,200 4,658,000 4,068,300 8 5,871,900 5,313,600 4,809,000 4,211,100 9 6,056,100 5,478,200 4,961,400 4,354,500 10 6,241,300 5,642,500 5,113,600 4,497,700 11 6,426,000 5,807,700 5,266,200 4,642,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