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메모리란 무엇인가?] SK하이닉스 vs 삼성전자 기술 전쟁 승자
HBM(High Bandwidth Memory) 고대역폭메모리는 고성능 컴퓨팅이 요구하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낮은 전력 소비를 동시에 실현하는 차세대 메모리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DDR4, DDR5, GDDR6와 비교했을 때, HBM은 데이터 폭(bus width)이 훨씬 넓고, 전력 효율도 뛰어나며, 공간 활용도 좋습니다.
![]() |
HBM 고대역폭 메모리 |
🧱 왜 이렇게 빠를까?
- 3D 스택 구조: DRAM 칩을 케이크처럼 층층이 쌓아올림 → 칩 간 데이터 이동이 빨라짐
- TSV 연결: Through‑Silicon Via(관통 실리콘)을 통해 내부 연결을 최적화
- 와이드 인터페이스: HBM 스택 하나 당 최대 1,024비트 폭, GDDR6 대비 10배 이상
🔍 HBM 세대별 진화
세대 | 출시 시기 | 데이터 속도 | 대역폭 (GB/s) | 특징 |
---|---|---|---|---|
HBM1 | 2013년 | 1 Gb/s | 128 | 최초 상용화 |
HBM2 | 2016년 | 2.4 Gb/s | 256~307 | 널리 채택됨 |
HBM2E | 2019년 | 3.6 Gb/s | 461 | 최대 24GB 스택 |
HBM3 | 2022년 | 6.4 Gb/s | 819 | AI 서버 필수 |
HBM3E | 2023년 | 9.6~9.8 Gb/s | 최대 1,229 | 상업화 진행중 |
HBM4 | 2026년 예정 | 6.4 Gb/s × 2048bit | 최대 1,638 | 차세대 기술 |
🧪 HBM은 어디에 사용될까?
HBM은 고성능 메모리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 전력 효율, 공간 절약이 중요한 AI, 그래픽 연산, 슈퍼컴퓨터, 고속 네트워크 장비 등에 특히 적합합니다.
✅ 주요 활용 분야
-
엔비디아·AMD GPU
최신 고성능 그래픽카드에 HBM2 / HBM3 탑재.
AI 연산, 딥러닝, 3D 렌더링 등 고성능 병렬처리에 최적화. -
AI 가속기 (예: 엔비디아 H100, AMD MI300)
GPT, 이미지 생성, 자율주행 등 초대규모 AI 모델 훈련용 GPU에 장착.
엔비디아 H100/H200, AMD MI300 시리즈에 HBM3/3E 탑재. -
슈퍼컴퓨터
막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연산해야 하는 환경에 필수.
HBM은 전력 효율이 높아 발열 억제에도 유리. -
고속 네트워크 장비 / FPGA
대규모 네트워크 패킷 처리, 암호화 연산 등에서 지연시간 최소화.
하드웨어 설계 유연성이 높은 FPGA에서 HBM 채택 증가.
🏭 주요 HBM 제조업체
- SK하이닉스 (한국) – HBM1~HBM3E까지 양산. 2025년 기준 시장 점유율 약 70%, 엔비디아에 단독 공급.
- 삼성전자 (한국) – HBM2~HBM3E 생산, HBM3E 12단 인증 완료, 점유율 약 30~42%.
- 마이크론 (미국) – HBM3E 12-high 양산 돌입, 점유율 약 20~25% 목표.
📊 2025년 기준 시장 점유율
- SK하이닉스: 약 70%
- 삼성전자: 약 30~42%
- 마이크론: 약 20~25% (중복 집계 포함 가능)
📈 향후 산업 전망
- AI 수요 폭증 – GPT, LLM,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성장과 함께 HBM 수요 급등.
- HBM4 출시 예정 – 2026년, 대역폭 1.6TB/s 이상으로 향상.
- PIM(인메모리 연산) – 병렬 연산 최적화로 AI 성능 극대화.
- 패키징 기술 경쟁 – TSMC, 삼성, 인텔 등이 고급 패키징 시장 강화 중.
- 공급 부족 지속 – 수요 급증 대비 공급 병목, 가격 상승 요인.
✅ 결론
HBM은 AI와 고성능 컴퓨팅의 핵심 메모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시장을 선도하고,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빠르게 추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HBM4, PIM 기술, 패키징 혁신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또 다른 도약이 기대됩니다.
※ 이 글은 산업 리포트, 공식 보도자료, 시장 분석 자료 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저작권과 SEO 정책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