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경기패스 카드 신청: 환급 혜택 및 사용처 완벽 가이드

더경기패스 발급 썸네일
더경기패스 발급

경기도민의 교통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더경기패스(The 경기패스)는, K-패스를 기반으로 발생한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실사용 교통비의 청년 30%, 일반 20%, 저소득층 최대 53%를 환급해 주는 경기도 맞춤형 정책입니다. 

또 이제는 월 이용 횟수 무제한, 61회 이상 전액 환급까지 적용되며, 교통비 절감과 함께 환경·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에 맞춰 발급 절차, 환급 방식, 사용 가능한 교통수단, 어린이·청소년 혜택, 그리고 다자녀 가구 지원, 61회 이상 이용자 전액 환급, 환경 및 경제적 효과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 

더경기패스 핵심 혜택 요약

경기도민(만 19세 이상)이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실교통비 일부 환급.
환급율은 청년(만 19~39세): 30%, 일반(만 40세이상): 20%, 저소득층: 최대 53%. 이용 횟수는 무제한이며, 월 61회 초과 시 전액 환급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 발급 및 환급 방식

신용·체크·선불형 교통카드를 각 카드사에서 발급받아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후 자동으로 더경기패스 혜택이 적용됩니다. 환급 방식은 신용카드 청구 할인, 체크카드 계좌 입금, 선불형은 마일리지 적립 등 카드별로 다릅니다.

사용 가능 교통수단 및 제외 항목

시내버스, 광역버스, 지하철, GTX, 신분당선 등 전국 대부분 대중교통 수단 이용 가능. 단, KTX·고속버스·SRT 등 별도 승차권 발권 수단은 제외됩니다.

어린이·청소년·다자녀 가구

6~18세 어린이·청소년은 연간 최대 24만 원(분기별 6만 원), 지역화폐로 환급 가능하며, 한 번 신청으로 연중 자동 환급됩니다. 다자녀 가구(자녀 2명 이상)는 환급율이 30%~50%까지 확대 적용됩니다.

교통비 절약 효과와 경제 파급

가입자 평균 환급액은 월 약 2만 원으로, 환급금의 상당 부분이 외식·여가 소비로 이어져 약 1,072억 원의 지역경제 창출 효과가 있었습니다. 또한 연간 약 22만 톤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도 있었습니다.

마무리 글

더경기패스는 단순한 교통비 환급을 넘어, 월 61회 초과 전액 환급, 무제한 이용, 다자녀 및 저소득층 차등 환급, 어린이·청소년 연간 지원, 환경·경제적 영향까지 고려하면, 경기도민에게 반드시 이용해야 할 종합 교통비 절감 정책입니다. 

지금 바로 K-패스 카드 발급과 가입을 통해 교통비 절약과 더 나은 삶을 한층 더 가까이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