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 Q&A 총정리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Q&A 썸네일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Q&A

서울시의 전기차 보조금 제도는 해마다 기준과 절차가 바뀝니다. 2025년에는 차량가격 기준(5,300만 원·8,500만 원)과 청년·다자녀 등 추가지원 항목이 손봐졌고, 서울시 자체 공고로 접수 일정과 대상·요건이 확정됐습니다. 

이 글은 2025년 하반기 서울시 공고와 환경부 지침을 바탕으로, 지원액·신청법·의무운행·추가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한 Q&A 안내서입니다.

실무에서 가장 많이 묻는 질문들만 뽑아 바로 적용할 수 있게 구성했습니다. 승용·화물·이륜 등 차종별 기준과 ‘의무운행 2년’의 의미, 남산 혼잡통행료 면제·공영주차장 감면, 잔여 예산 조회까지 핵심만 짚었습니다.

핵심 요약·지원액

2025년 하반기 서울시 전기승용차 기준 최대 63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국비+시비 합산, 차종·성능·가격에 따라 달라짐). 접수는 2025.7.16(수) 10:00 ~ 12.5(금) 18:00(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이며, 세부 보급대수·추가지원은 공고문을 따릅니다.

항목 내용
최대 지원액 전기승용 기준 최대 630만 원(차종·성능·가격에 따라 차등)
신청 기간 2025.7.16 10:00 ~ 12.5 18:00(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신청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 온라인 신청
거주 요건 신청일 기준 연속 서울시 30일 이상 거주(또는 사업자등록)
가격 기준 5,300만 원 이하 전액 / 5,300~8,500만 원 50% / 8,500만 원 초과 미지원(국고 기준)
의무운행 승용 기준 2년(내 판매·이전 시 서울시 판매승인 필요)

신청 기간·방법 안내

접수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에서 진행합니다. 서울시 공고(하반기) 기준으로 지정 일시에 접수가 열리고,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됩니다. 회원가입→차량선택→보조금 신청서 작성→승인·출고→보조금 지급 순입니다(세부는 공고 첨부 서식 참조).

자격·대상 차량 기준

개인은 신청일 기준 서울 연속 30일 이상 거주, 법인·개인사업자는 서울 소재 사업자등록이 필요합니다. 대상 차량은 환경부가 고시한 지급대상 차종(전기승용·화물·승합·이륜 등)에 한합니다. 차종별 지원액은 성능·가격·효율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차량가격·보조율 기준

2025년 국고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5,300만 원 이하는 보조금 전액, 5,300~8,500만 원은 50%, 8,500만 원 초과는 미지원입니다. 해당 기준은 서울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옵션가는 제외하고 인증사양별 기본가격으로 판단합니다.

의무운행·판매승인 절차

서울시는 최초등록일 기준 2년 이내 판매·명의이전 시 서울시 판매승인을 의무화합니다. 승인 없이 처분하면 보조금 환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타 지자체로 이전 시 사용기간별 환수요율이 적용됩니다. 의무운행·판매승인·환수요율은 서울시 FAQ에 표로 제공됩니다.

추가지원·우선순위 대상

청년(만 19~34세) 생애 첫 구매다자녀 가구 등은 국고 추가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차상위 등 취약계층, 농업인 화물차, 택배용 화물차도 별도 추가지원 항목이 운영됩니다. 서울시는 제조사 50만 원 할인 시 시비 50만 원 추가 등 지역 특화 인센티브를 함께 공지합니다.

주차·통행료 혜택 정리

서울 공영주차장에서 전기차가 충전 중일 때는 1시간 면제, 이후 50% 감면을 적용합니다(시설·현장 절차에 따름).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는 저공해차 전자태그(‘맑은 서울’) 부착 전기차에 대해 면제가 안내되어 있습니다(관련 기관 안내 기준).

탈락사유·재신청 가이드

다음은 대표적인 부적격·환수 사례입니다. ① 공고일 이전 출고·등록 ② 자격 부여·대상자 확정 없이 출고 ③ 의무운행기간 내 무단 처분 ④ 타 지자체 이전 시 환수요율 적용 등. 교통사고·천재지변 등 불가피한 폐차는 서류 요건을 갖추면 재지원이 가능합니다(재지원 제한기간 예외).

잔여예산·조회 안내

예산 소진 속도는 지자체·차종별로 다릅니다. 신청 전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의 ‘보조금 지급현황/지급여부 조회’에서 서울시 잔여 물량·예산 현황을 확인하세요. 차대번호로 지급여부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전기이륜차 추가지원

서울시는 배달용 전기이륜차에 대해 국비·지방비 추가지원을 운영하고, 소상공인·취약계층·배터리 교환형 등에 대한 별도 가점을 둡니다. 기존 내연 이륜차 폐차 후 전환 시 국비 추가 지원 등 요건별 항목이 정리돼 있습니다(연도별 상이, 공고 확인).

마무리·체크포인트

가격 기준(5,300·8,500만 원)청년·다자녀 추가지원을 먼저 확인
서울 30일 거주/사업자등록 요건 충족 여부 점검
의무운행 2년·판매승인·환수요율 숙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대상 차종·예산 현황 확인 후 계약·접수
주차·혼잡통행료 감면 등 부대 혜택도 함께 고려해 총비용을 계산

공식 출처 한눈보기 :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공고·FAQ / 환경부 무공해차 보조금 지침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 지급현황 / 서울시 공영주차장·혼잡통행료 감면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