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생애 최초 전기차 구매 보조금 증빙서류 발급 및 제출 방법

청년 생애최초 전기차 보조금 썸네일
생애 최초 전기차 보조금/이미지=AI 생성

2025년부터 청년(만 19~34세)이 ‘생애 첫 차’를 전기차로 구입하면 국비 지원액의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추가 혜택을 받으려면 본인이 과거에 자동차를 보유·등록한 이력이 없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해야 하며, 서울시는 지방세 미과세증명서와 주민등록초본 등 구체적인 증빙을 요구합니다.

이 글은 서울시 2025년 공고/FAQ와 환경부 지침을 바탕으로, 청년 생애최초 추가보조금의 필수 서류발급·제출 요령, 흔한 누락 포인트를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온라인 제출 경로와 보완 요청 대응 팁까지 확인해 보세요.

청년 생애최초 추가보조금

대상은 만 19~34세 청년이며, 생애 첫 차를 전기차로 구매해야 합니다. 기본 보조금 산정 후 국비 지원액의 20%가 추가됩니다. (지자체 세부 운영은 공고문을 따르며, 서울시는 FAQ로 제출서류를 명시)

필수 증빙서류(서울시 기준)

위택스 홈페이지 화면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서류 발급/이미지=위택스 캡처

위택스 홈페이시 서류 발급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서류 발급/이미지=위택스 캡처

서울시 FAQ에는 ‘생애 최초 차량 구매자’ 제출서류로 다음을 요구합니다.

  • 지방세 세목별 미과세증명서 3종: 취득세(차량), 자동차세(자동차), 등록세(차량)
    출생년도 ~ 현재까지 범위로, 주소지(기간)별 발급(이전 거주지 포함)
  • 주민등록초본 (이전 주소지 이력 확인용)

※ 위 서류는 위택스(wetax.go.kr) 등에서 발급 가능하며, 지자체/시스템 안내 서식을 준수하세요.

발급·제출 경로와 절차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전기차 서류 발급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증명 서류 발급/이미지=위택스 캡처

위택스 홈페이지 서류 발급
위택스 홈페이지 화면/이미지=위택스 캡처

1) 발급 — 위택스 또는 주민센터/정부24에서 미과세증명서(세목별)와 주민등록초본을 발급합니다. 기간·주소지 범위가 누락되지 않도록 ‘전체 기간’ 및 ‘이전 주소지 포함’ 옵션을 확인하세요.

2) 제출 — 기본 보조금 및 추가서류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을 통해 접수하며, 통상 제조·수입사가 대행하여 업로드합니다. 대행 접수라도 서류 원본 스캔본(PDF/이미지)의 식별성이 떨어지면 보완 요청이 올 수 있습니다.

흔한 누락과 보완 팁

  • 주소지(기간) 누락: 미과세증명서는 반드시 출생년도~현재 전체 구간을 주소지별로 발급해야 합니다.
  • 파일 식별성: 모자이크/흐림 처리로 항목이 읽히지 않으면 반려될 수 있습니다. 해상도·용량 안내를 지켜 업로드하세요.
  • 초본 vs 등본: 서울시 FAQ는 ‘초본(주소이력)’을 요구합니다. 등본만 제출하면 주소 이력 입증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제출 타이밍: 추가서류가 늦어지면 대상자 선정/지급이 지연될 수 있으니 계약 직후 바로 준비·제출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요약)

  • 나이 기준? 만 19~34세(청년기본법).
  • ‘생애 최초’ 판단? 과거 차량 취득·등록·자동차세 과세 이력이 전혀 없어야 하며, 이를 미과세증명서로 입증.
  • 누가 제출하나? 원칙적으로 제조·수입사가 대행 제출하나, 증빙 준비·정합성 책임은 신청자에게 있습니다.
  • 서울시 일정/자격(참고) 2025 하반기 접수 7/16~12/5, 서울 30일 이상 거주 요건 등(상세는 해당 공고 확인).

마무리 체크리스트

  • 미과세증명서(취득세·자동차세·등록세) 주소지·기간별 발급 완료
  • 주민등록초본(이전 주소지 포함) 준비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접수 상태 및 보완 요청 수시 확인
  • 제조·수입사 대행 제출 시 업로드 파일 식별성 점검
  • (서울시) 공고·FAQ 최신본 재확인